private house 3/3. yeongyang. 2020-2021
소도시에서 집의 가치. 현재의 도시주거는 삶을 위한 공간의 가치와 부동산의 가치가 공존하고 있다. 특히 소도시에서의 집은 재산적 가치로 접근하기에는 번잡한 도시의 그것에 비해 수지가 맞지 않다. 소도시에서의 주거건축은 건축주가 가진 가치관과 가족에 대한 생각들에 더 접근할 수 있으며 가족의 개별적 요구들로부터 다양한 시도가 가능해지고 가족만의 공간에 더 집중할 수 있다. 가족의 삶을 투영한 공간은 독립적인 가치를 가지며 소중한 경험들을 만들어 간다.
세 번째 집짓기. 소도시의 경계에 위치한 긴 대지에서의 세 번째 집이다. 앞서 지어진 두 주택과 시간차를 가지고 지어지는 만큼 가족의 삶을 온전히 반영하면서 조화로운 풍경을 만들고자 했다. 수년간 소도시의 풍경을 마주하면서 지역적 특성과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건축주의 주거에 대한 태도와 생활방식을 이해하게 되었다.
부부를 위한 실용적인 공간. 곧 독립하게 될 자녀들보다는 부부를 위한 공간에 중점을 두고 계획되었다. 좁은 지역사회로부터 가족의 생활이 보호되는 장소로 디자인 되고자 했고 소박하고 단순한 공간이지만 지루하지 않아야 했다. 부부는 무엇보다 실용적인 공간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불필요한 공간을 최대한 배제하고 꼭 필요한 공간만 적절히 배치되기를 바랐다.
프라이버시와 짧은 여정. 산뜻한 색상의 벽돌로 감싼 외벽은 특유의 텍스처와 물성으로 강한 경계와 영역을 만들어 내부공간을 시각적으로 보호한다. 주생활공간인 거실과 주방은 도로로부터 거리를 두어 배치하고 부부만의 공간은 2층에 따로 두었다. 각 실의 창도 세심하게 조정해 시선이 교차하지 않도록 하고 가능하면 내부로 향하도록 했다. 집은 짧은 여정을 가진다. 셋백된 북측 벽을 따라 접근하게 되며 집에 들어서면 아담한 마당을 바라보게 된다. 거실과 주방의 주공간은 높은 층고로 구성해 주택의 중심공간임을 부각시키고 2층 부부의 공간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커튼월 창을 가진 부부의 공간은 테라스로 확장되며 다시 아담한 정원을 바라보게 된다.
내부화된 보이드. 주택의 매스는 풍경에 스며드는 단순한 형태를 가진다. 단단한 외벽은 보이드 공간을 가두어 전이공간을 형성한다. 이 전이공간에는 자작나무와 담쟁이넝쿨을 식재해 계절에 따른 변화를 느낄 수 있으며 동선상에서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교차하면서 자연의 빛과 바람을 자연스럽게 접하며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